신인감독 김연경: 필승 원더독스 선수 멤버 라인업
![]() |
mbc 신인감독 김여경 포스터/이미지=mbc |
배구 레전드 김연경이 감독으로 나서는 MBC 예능 '신인감독 김연경'이 팀 '필승 원더독스'를 출범시킨다. 잊힌 재능과 새 출발을 원하는 선수들이 한 팀으로 묶여, 선발·훈련·전술·경기 운영 전 과정을 다큐 예능 형식으로 보여주는 것이 핵심 콘셉트다.
프로 레벨의 전술을 예능 문법에 접목해 '언더독에서 원더독으로' 성장하는 스토리를 그린다. 김연경 감독은 트라이아웃과 합숙 훈련을 지휘하며 포지션 밸런스와 팀 케미를 직접 설계한다. 선수 평가는 데이터와 현장 피드백을 병행해 이뤄지며, 매 회차 과제를 통해 기량과 멘탈을 동시에 끌어올리는 구조다.
방송 일정 안내
첫 방송은 2025년 9월 28일 일요일 밤 시간대로 예고되었으며, 주 1회 정규 편성으로 진행된다. 세부 편성은 방송사 공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어, 시청 직전 편성표를 재확인하는 것이 좋다. 파일럿 성격이 아닌 시즌제 운영을 목표로 하며, 시즌 중 스페셜 매치와 합동 훈련 에피소드가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프로그램 콘셉트
핵심 콘셉트는 '재도전'과 '팀 빌딩'이다. 트라이아웃 → 전술 훈련 → 포지션 경쟁 → 평가전 → 공식전의 흐름으로 전개되며, 세부 미션(수비 조직력, 서브 타깃, 속공 타이밍, 전위·후위 로테이션 이해도 등)이 매 회차 제시된다.
승패보다 성장 곡선에 초점을 두되, 실전 경기에서의 의사결정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실질 성과를 검증한다.
원더독스 라인업
이름 | 포지션 | 생년월일 | 신체 | 비고 |
---|---|---|---|---|
한송희 | 아웃사이드히터 | 2000.04.16 | 172cm, 65kg | 前 GS칼텍스, 도로공사 / 現 포항시체육회 |
이진 | 세터 | 2001.02.03 | 173cm, 57kg | 前 IBK기업은행 / 現 에나코리 몬티 |
인쿠시 | 아웃사이드히터 | 2005.03.06 | 179cm, 67kg | 몽골 / 現 목포과학대학교 |
김현정 | 미들블로커 | 1998.08.28 | 180cm, 70kg | 前 GS칼텍스, IBK기업은행, 도로공사 |
이나연 | 세터 | 1992.03.25 | 173cm, 62kg | 前 GS칼텍스, IBK기업은행, 현대건설 |
김나희 | 미들블로커 | 1989.02.17 | 178cm, 63kg | 前 흥국생명 |
백채림 | 아웃사이드히터, 리베로 | 1998.01.07 | 173cm, 59kg | 前 도로공사, 현대건설 |
윤영인 | 오포지트 | 미확정 | 미확정 | 現 수원시청 |
타미라 | 오포지트 | 1999.11.29 | 175cm, 62kg | 몽골 / 現 목포과학대학교 |
구슬 | 미들블로커, 세터 | 2001.07.23 | 181cm, 68kg | 前 KGC인삼공사, 페퍼저축은행 / 現 아제리안 바쿠 |
문명화 | 미들블로커 | 1995.09.04 | 189cm, 73kg | 前 KGC인삼공사, GS칼텍스 / 現 대구시청 |
최수빈 | 리베로, 아웃사이드히터 | 1994.04.02 | 미확정 | 前 KGC인삼공사, IBK기업은행 |
표승주 | 아웃사이드히터 | 1992.08.07 | 182cm, 77kg | 前 도로공사, GS칼텍스, IBK기업은행, 정관장 |
구혜인 | 리베로 | 2003.09.23 | 169cm, 65kg | 前 IBK기업은행 / 現 대구시청 |
포지션별 역할
- 아웃사이드히터: 리시브·수비·마무리 공격까지 3역을 담당, 랠리 길어질수록 가치 상승.
- 오포지트: 하이볼 처리와 전위 결정력이 핵심, 사이드아웃 국면에서 승패 좌우.
- 미들블로커: 블로킹 라인의 중심, 서브 이후 센터 라인 디그 합류로 세컨드 볼 연결.
- 세터: 패스 퀄리티·속도·위치 선정으로 팀 공격의 명암 결정.
- 리베로: 리시브 분산·수비 커버·콜링으로 랠리 유지, 세터 다음 플레이메이커.
김연경 감독의 리더십
김연경 감독은 '상황 판단–콜링–실행'의 3단계 훈련을 강조한다. 실전에서는 서브 타깃을 명확히 하며, 첫 볼 사이드아웃 성공률을 최우선 지표로 관리한다.
선수 개인의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시스템으로 보완하는 원칙을 적용, 블로킹 라인의 높이/간격, 디그 라인의 깊이 조정, 세터-미들 타이밍 일치 등을 통해 팀 전체 효율을 끌어올린다.
코칭스태프 구성
코칭스태프는 이연주, 정우성, 김태영으로 구성됐다. 전술 코치, 피지컬 코치, 분석 코치 중심으로 운영된다. 전술 코치는 상대 성향에 맞춘 서브 타깃·블로킹 포메이션을 설계하고, 피지컬 코치는 점프·코어·견갑 안정화 루틴을 관리한다.
분석 코치는 랠리 당 득실(PTS/Rally), 리시브 효율, 세트별 공격 성공률 등을 수치화해 선수단 피드백 미팅을 주도한다.
시청 포인트 정리
① 전술 디테일: 서브 타깃·더블 블로킹 각도·백어택 타이밍 등 프로 레벨 디테일이 예능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확인. ② 성장 스토리: 언더독 선수들이 자신만의 무기를 다시 세팅하는 과정. ③ 라인업 유연성: 상대 특성에 맞는 스타팅과 교체 카드의 변화. ④ 감독의 선택: 위기 상황에서의 콜, 타임아웃 멘트, 교체 타이밍 등 리더십 포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