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 여자 아이돌: 1-4세대 대표 걸그룹 한눈에 읽는 변천사

여자 아이돌 3세대 블랙핑크/이미지=블랙핑크 SNS K-POP 여자 아이돌의 역사는 ‘세대’라는 렌즈로 보면 더 또렷해집니다. 단순한 데뷔 연도가 아니라, 음악 유통 플랫폼과 제작 방식, 팬덤 문화의 변화가 세대를 갈라 놓았죠. 그렇게 무대 전략과 사운드, 콘셉트 서사까지 달라졌습니다. 이 글은 그 변화를 한눈에 읽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1세대는 시스템의 탄생, 2세대는 대중적 히트와 해외 확장, 3세대는 유튜브 중심의 글로벌 팬덤, 4세대는 숏폼 바이럴과 세계관·수집경제가 핵심입니다. 각 세대의 키워드와 대표 그룹, 장르·퍼포먼스 특징을 함께 정리해 차이를 쉽게 비교하도록 구성했습니다. 1세대(97~03) SM·DSP를 중심으로 아이돌 시스템이 자리 잡은 시기입니다. 음악방송과 피지컬 음반이 성과의 핵심이었고, 청량·소녀 콘셉트가 주류였습니다. 해외 활동은 일본·중화권 위주로 제한적이었지만, 팬클럽 문화와 합숙·트레이닝 체계가 정착해 이후 세대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키워드 · 지상파 중심 · 피지컬 음반 · 팀 브랜드 대표 그룹 · S.E.S, 핑클, 베이비복스, 샵, 쥬얼리 훈련·프로듀싱 시스템의 표준화 팬클럽/오프라인 이벤트 중심의 팬문화 일본·중화권 중심의 초기 해외 진출 2세대(07~13) 디지털 음원 시장이 본격화되고 ‘걸그룹 대전’이 전개됩니다. 예능·광고와의 시너지가 커지며 국민 히트곡이 연이어 탄생했습니다. 일본 현지 활동이 수익의 큰 축이 되었고, 공연·굿즈·팬미팅 사업이 체계를 갖추었습니다. 키워드 · 디지털 전환 · 대중성 확장 · 해외 투어 표준화 대표 그룹 · 소녀시대, 원더걸스, 카라, 2NE1, f(x), 티아라, 시스타, 미쓰에이, 걸스데이, 4minute 훅 중심의 히트 포뮬러 확립 예능 노출로 인지도·팬덤 동시 성장 일본 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