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발롱도르 수상자 명단: 1956년~현재까지
![]() |
역대 발롱도르 수상자 명단 |
발롱도르(Ballon d’Or)는 한 시즌 동안 세계 축구 무대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수여되는 개인상으로, 선수 개인의 기술과 전술적 영향력은 물론 팀 성과와 빅매치에서의 임팩트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1956년 제정 이후 발롱도르는 시대별 최정상급 선수들의 이름을 역사의 한가운데에 새겨왔고, 그 자체가 축구사의 연대기 역할을 한다.
초창기에는 유럽 국적 선수로 수상 대상을 한정했으나 1995년 이후 세계 모든 리그와 국적의 선수로 확대되며 글로벌 권위를 강화했다. FIFA와 공동 시상(2010–2015) 시기를 지나 현재는 프랑스 축구 전문지 France Football이 독자적으로 주관한다. 기자단·감독·대표팀 주장 등으로 구성된 투표단이 시즌 기록과 경기력, 대회 기여도를 바탕으로 최종 수상자를 가린다.
발롱도르의 의미
발롱도르는 단순한 ‘개인상’이 아니라 해당 시즌 축구의 흐름과 기준을 드러내는 잣대다. 득점·어시스트 같은 정량지표에만 갇히지 않고, 전술적 가치를 통해 팀의 성과를 끌어올렸는지, 국제대회에서 상징적 장면을 만들었는지까지 함께 본다. 이 상이 권위를 유지하는 이유는 투표 절차의 축적된 신뢰와 시대를 대표한 수상자들의 무게감에 있다.
역사와 제도 변화
1956년 스탠리 매튜스가 초대 수상자로 선정된 이후, 1960~70년대에는 요한 크루이프·프란츠 베켄바워 같은 ‘전술 혁신’의 중심들이, 1980~90년대에는 미셸 플라티니·마르코 반 바스텐·지네딘 지단 같은 플레이메이커와 결정적 골잡이들이 각 시대를 대표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호나우지뉴·카카를 거쳐 리오넬 메시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수년간 경쟁 구도를 이루며 현대 축구의 기준을 끌어올렸다. 최근에는 로드리(2024)처럼 팀 밸런스를 좌우하는 미드필더의 가치도 폭넓게 인정받고 있다.
2025 수상자와 하이라이트
2025년 남자 발롱도르는 프랑스의 우스만 뎀벨레에게 돌아갔다. 파리 생제르맹(PSG)에서 2024–25시즌 동안 유럽무대와 국내대회 모두에서 핵심적 임팩트를 보여주며 클럽의 정상 도전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양발 드리블과 전환 속도, 하프스페이스 침투 능력으로 빅매치 판도를 바꾼 장면이 많았고, 토너먼트에서의 존재감이 투표 결과에 직접 반영되었다는 평가다.
역대 수상자 명단
년도 | 수상자 | 클럽 | 국적 |
---|---|---|---|
1956 | 스탠리 매튜스 (프로필) | 블랙풀 FC | 잉글랜드 |
1957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레알 마드리드 | 스페인 |
1958 | 레몽 코파 | 레알 마드리드 | 프랑스 |
1959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레알 마드리드 | 스페인 |
1960 | 루이스 수아레스 | FC 바르셀로나 | 스페인 |
1961 | 오마르 시보리 | 유벤투스 | 이탈리아 |
1962 | 요제프 마소푸스트 | 두클라 프라하 | 체코 |
1963 | 레프 야신 | 디나모 모스크바 | 소련 |
1964 | 데니스 로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스코틀랜드 |
1965 | 에우제비우 | 벤피카 | 포르투갈 |
1966 | 바비 찰튼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잉글랜드 |
1967 | 플로리안 알베르트 | 페렌츠바로시 | 헝가리 |
1968 | 조지 베스트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북아일랜드 |
1969 | 잔니 리베라 | AC 밀란 | 이탈리아 |
1970 | 게르트 뮐러 | 바이에른 뮌헨 | 독일 |
1971 | 요한 크루이프 | 아약스 | 네덜란드 |
1972 | 프란츠 베켄바워 | 바이에른 뮌헨 | 독일 |
1973 | 요한 크루이프 | 바르셀로나 | 네덜란드 |
1975 | 올레그 블로힌 | 디나모 키예프 | 소련 |
1976 | 프란츠 베켄바워 | 바이에른 뮌헨 | 독일 |
1977 | 알란 시몬센 | 묀헨글라트바흐 | 덴마크 |
1978 | 케빈 키건 | 함부르크 | 잉글랜드 |
1980 |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 바이에른 뮌헨 | 독일 |
1982 | 파올로 로시 | 유벤투스 | 이탈리아 |
1983 | 미셸 플라티니 | 유벤투스 | 프랑스 |
1986 | 이고리 벨라노프 | 디나모 키예프 | 소련 |
1987 | 루드 굴리트 | AC 밀란 | 네덜란드 |
1988 | 마르코 반 바스텐 | AC 밀란 | 네덜란드 |
1990 | 로타어 마테우스 | 인터 밀란 | 독일 |
1991 | 장피에르 파팽 | 마르세유 | 프랑스 |
1992 | 마르코 반 바스텐 | AC 밀란 | 네덜란드 |
1993 | 로베르토 바조 | 유벤투스 | 이탈리아 |
1994 | 스토이치코프 | 바르셀로나 | 불가리아 |
1995 | 조지 웨아 | AC 밀란 | 라이베리아 |
1996 | 마티아스 자머 | 도르트문트 | 독일 |
1997 | 호나우두 | 인터 밀란 | 브라질 |
1998 | 지네딘 지단 | 유벤투스 | 프랑스 |
1999 | 히바우두 | 바르셀로나 | 브라질 |
2000 | 루이스 피구 | 레알 마드리드 | 포르투갈 |
2001 | 마이클 오언 | 리버풀 | 잉글랜드 |
2002 | 호나우두 | 레알 마드리드 | 브라질 |
2003 | 파벨 네드베드 | 유벤투스 | 체코 |
2004 | 셰브첸코 | AC 밀란 | 우크라이나 |
2005 | 호나우지뉴 | 바르셀로나 | 브라질 |
2006 | 파비오 칸나바로 | 레알 마드리드 | 이탈리아 |
2007 | 카카 | AC 밀란 | 브라질 |
2008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포르투갈 |
2009 | 리오넬 메시 | 바르셀로나 | 아르헨티나 |
2013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레알 마드리드 | 포르투갈 |
2015 | 리오넬 메시 | 바르셀로나 | 아르헨티나 |
2016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레알 마드리드 | 포르투갈 |
2018 | 루카 모드리치 | 레알 마드리드 | 크로아티아 |
2019 | 리오넬 메시 | 바르셀로나 | 아르헨티나 |
2022 | 카림 벤제마 | 레알 마드리드 | 프랑스 |
2023 | 리오넬 메시 | 인터 마이애미 | 아르헨티나 |
2024 | 로드리 | 맨체스터 시티 | 스페인 |
2025 | 우스만 뎀벨레 | 파리 생제르맹 | 프랑스 |
마무리
발롱도르는 ‘개인의 왕관’이자 시대정신의 기록물이다. 2025년 뎀벨레의 수상은 PSG의 새로운 이정표이자 프랑스 축구의 경쟁력을 재확인한 사건으로 남는다. 다음 시즌 누가 축구의 기준을 다시 쓰게 될지, 발롱도르는 또 한 번 세계인의 시선을 모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