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연수원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16기 17기 18기 19기 20기 명단

사법연수원 11-20기 주요 명단 썸네일
사법연수원 11-20기 주요 명단

사법연수원은 대한민국 법조계 인재들이 실무 수련을 거쳐 판·검사, 변호사로 진출하는 핵심 기관입니다. 특히 1980년대 초반 11기부터 20기까지는 한국 현대사의 굵직한 사건과 제도를 이끌었던 인물들이 다수 배출되었습니다. 

이 시기의 연수원 출신들은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법무부 장관, 국회의원 등 다양한 요직에 오르며 사법과 정치, 행정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법연수원 11기부터 20기까지의 주요 인물과 그들의 대표 직책을 요약 정리합니다.

기수별 주요 인물과 직책

11기(1980년)
김영란 前 대법관(前 국민권익위원장), 박상옥 前 대법관, 고영한 前 대법관 등이 포함됩니다. 주로 사법부 요직에서 활약한 인물이 많은 기수입니다.

12기(1981년)
문재인 前 대통령, 박원순 前 서울시장, 조재연 前 헌법재판관, 송두환 前 헌법재판관, 박병대 前 대법관 등이 대표적입니다. 정치와 사법을 넘나든 인물이 두드러집니다.

13기(1982년)
조희대 現 대법원장, 박한철 前 헌법재판소장, 황교안 前 국무총리, 최재형 前 감사원장, 유남석 現 헌법재판소장 등 사법부 수장급 인사가 대거 배출된 기수입니다.

14기(1983년)
권순일 前 대법관, 안창호 前 헌법재판관, 추미애 민주당 국회의원, 홍준표 전 대구시장,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 등이 포함됩니다. 법조계와 정치권에서 동시에 활약한 인물이 두드러집니다.

15기(1984년)
김명수 前 대법원장, 안철상 前 대법관, 곽상도 前 국회의원, 권영세 現 국민의힘 의원,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 등이 속해 있습니다. 정치와 사법 양측에서 두각을 나타낸 기수입니다.

16기(1985년)
노태악 現 대법관, 이균용 現 대법원장 지명자, 이정미 前 헌법재판소장, 박보영 前 대법관, 김현웅 前 법무부 장관 등이 대표적입니다.

17기(1986년)
김선수 現 대법관, 이동원 現 대법관, 권성동 現 국회의원, 오세훈 現 서울시장, 최재경 前 검찰총장 후보자 등이 속해 있습니다. 현직 대법관과 정치 지도자가 함께하는 기수입니다.

18기(1987년)
김재형 現 대법관, 문형배 現 헌법재판관, 민유숙 現 대법관, 이재명 現 대통령, 문무일 前 검찰총장 등 굵직한 인물들이 포진해 있습니다.

19기(1988년)
오석준 現 대법관, 노정희 前 대법관, 이은애 現 헌법재판관, 김형두 現 법원행정처 차장, 우병우 前 청와대 민정수석 등이 대표적입니다.

20기(1989년)
김상환 現 대법관, 김오수 前 검찰총장, 박정화 現 대법관, 이종걸 前 국회의원, 정점식 現 국회의원 등이 포함됩니다. 현직 대법관과 정치권 인사가 함께하는 기수입니다.

연수원 11~20기 주요 인물

기수(연도) 정원 대표 인물(가나다 순)
11기(1980년) 112명 경대수, 고영한, 김영란, 김준규, 문성우, 박상옥, 부구욱, 서기석, 이승구, 이인복, 이인제, 조병현
12기(1981년) 150명 고승덕, 김신, 김창종, 문재인, 박병대, 故 박원순, 박정규, 송두환, 심장수, 이귀남, 이성호, 이한성, 임호영, 조배숙, 조영래, 조재연, 천성관, 함승희, 황찬현
13기(1982년) 273명 강금실, 김문석, 김창석, 김학근, 김형태, 문석호, 박한철, 성윤환, 신평, 안홍렬, 유남석, 윤형모, 이광범, 이완수, 정기용, 조대환, 조희대, 최성준, 최완주, 최재형, 차동민, 한상대, 황교안, 황희철, 허익범
14기(1983년) 311명 강민구, 강일원, 권순일, 김영한, 김제식, 김진태, 김창보, 김태천, 김학의, 노환균, 민중기, 송철호, 신기남, 신종대, 안창호, 엄호성, 옥영보, 이기문, 이범래, 이상권, 이상열, 이석태, 이승용, 이인규, 이인기, 이충상, 정종섭, 주호영, 채동욱, 추미애, 홍일표, 홍준표
15기(1984년) 301명 곽상도, 권영세, 길태기, 김광태, 김기현, 김명수, 김상도, 김용철, 김필규, 김학원, 김홍일, 남기춘, 석동현, 소병철, 안철상, 양승부, 양재호, 유기준, 윤석만, 이원영, 이종석, 이중환, 이창세, 정영환, 정종복, 주철현, 최교일, 하창우, 황병하, 황정근
17기(1986년) 309명 강경필, 권성동, 김경수, 김삼화, 김선수, 김수천, 김흥준, 김희관, 박성재, 박승환, 박요찬, 박주현, 박충근, 배기열, 신경식, 송찬엽, 오세훈, 이동원, 이상인, 이석연, 이승채, 이용삼, 이충범, 임무영, 임성근, 정형식, 조만후, 조상희, 조성욱, 최거훈, 최용규, 최재경, 한문철, 한승, 홍만표
18기(1987년) 297명 강찬우, 권기훈, 김영덕, 김재형, 김주현, 김종필, 김진태, 문무일, 문병호, 문형배, 민유숙, 박세환, 박형상, 박희승, 변찬우, 성지용, 송기헌, 심규철, 오세인, 위철환, 이석수, 이상민, 이영렬, 이용복, 이재명, 이종엽, 장인종, 정성호, 조응천, 조한창, 차정인, 최원식, 한창훈, 홍승면
19기(1988년) 305명 공상훈, 강영수, 김강욱, 김상헌, 김수창, 김소영, 김재경, 김정원, 김진국, 김진모, 김형두, 노정희, 박경호, 봉욱, 신광렬, 오석준, 우병우, 윤갑근, 이은애, 이창현, 전원열, 전해철, 조은석, 조희진, 주성영, 최재천, 황철규
20기(1989년) 304명 강선희, 강성국, 김상환, 김영선, 김오수, 김준곤, 김진수, 김회재, 박정식, 박정화, 신유철, 안상돈, 안태근, 오시영, 은진수, 이금로, 이명규, 이영규, 이종걸, 이춘석, 전현준, 정점식, 정준영

마무리

사법연수원 11~20기는 한국 사법사뿐 아니라 정치, 행정, 사회 전반의 중요한 지도자를 배출한 기수들입니다. 법관, 검사, 변호사뿐 아니라 대통령·총리·국회의원 등으로 활약한 인물들이 많아 “법조-정치 엘리트의 황금세대”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들의 활동은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며, 앞으로 한국 사회에 미칠 영향 역시 적지 않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