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기준 중위소득 비율별 복지혜택 (32% 48% 50% 60% 120%)

2026년 기준 중위소득 비율별 복지 썸네일
2026년 기준 중위소득 별 복지혜택 총정리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이 인상되었습니다. 중위소득은 전국 가구의 소득 분포에서 정중앙값을 뜻하며,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등 기초생활보장과 각종 장학·돌봄·주거 지원의 소득문턱을 결정하는 기준입니다. 

올해 확정된 금액을 정확히 이해하면, 우리 가구의 지원 가능성을 빠르게 판단하고 필요한 준비를 서둘러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인상으로 기준 중위소득 중앙값(100%)은 1인 2,564,238원, 2인 4,199,292원, 3인 5,359,036원, 4인 6,494,738원, 5인 7,556,719원, 6인 8,149,712원이 적용됩니다. 

비율 기준은 제도별로 다르지만, 생계급여(32%), 의료급여(40%), 주거급여(48%), 교육급여(50%)처럼 핵심 급여는 변함없이 중위소득의 일정 퍼센트 이하를 충족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비율별 적용 예와 가구·비율별 금액표를 한 번에 확인하세요.

2026 중위소득 핵심 수치

  • 1인: 2,564,238원 · 2인: 4,199,292원 · 3인: 5,359,036원 · 4인: 6,494,738원 · 5인: 7,556,719원
  • 적용 시점: 2026년 1월부터
  • 중요: 제도별로 ‘소득인정액’ 산식과 공제 항목이 다르므로 반드시 각 사업 공고를 확인

비율별 복지 혜택 요약

대표 예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세부기준은 사업별 공고 확인).

  • 생계급여: 중위소득 32% 이하
  • 의료급여: 40% 이하
  • 주거급여: 48% 이하
  • 교육급여: 50% 이하
  • 국민취업지원제도: 60% 또는 100% 이하 유형별 상이
  • 아이돌봄서비스: 200% 이하
  • 예술활동준비금: 120% 이하

가구·비율별 금액표 (2026)

※좌우 스크롤 가능합니다. 6인 가구까지 확인하세요.
비율 1인 가구
(2,564,238)
2인 가구
(4,199,292)
3인 가구
(5,359,036)
4인 가구
(6,494,738)
5인 가구
(7,556,719)
6인 가구
(8,149,712)
32%820,5561,343,7731,714,8922,078,3162,418,1502,607,908
40%1,025,6951,679,7172,143,6142,597,8953,022,6883,259,885
48%1,230,8342,015,6602,572,3373,117,4743,627,2253,911,861
50%1,282,1192,099,6462,679,5183,247,3693,778,3604,074,856
60%1,538,5432,519,5753,215,4223,896,8434,534,0314,889,827
63%1,615,4702,645,5543,376,1934,091,6854,760,7335,134,317
70%1,794,9672,939,5043,751,3254,546,3175,289,7035,704,798
72%1,846,2513,023,4903,858,5064,676,2115,440,8385,867,783
80%2,051,3903,359,4344,287,2295,195,7906,045,3756,519,770
90%2,307,8143,779,3634,823,1325,845,2646,801,0477,334,741
100%2,564,2384,199,2925,359,0366,494,7387,556,7198,149,712
110%2,820,6624,619,2215,894,9407,144,2128,312,3918,964,683
120%3,077,0865,039,1506,430,8437,793,6869,068,0639,779,654
130%3,333,5095,459,0806,966,7478,443,1599,823,73510,594,626
140%3,589,9335,879,0097,502,6509,092,63310,579,40711,409,597
150%3,846,3576,298,9388,038,5549,742,10711,335,07812,224,568
160%4,102,7816,718,8678,574,45810,391,58112,090,75013,039,539
170%4,359,2057,138,7969,110,36111,041,05512,846,42213,854,510
180%4,615,6287,558,7269,646,26511,690,52813,602,09414,669,482
190%4,872,0527,978,65510,182,16812,340,00214,357,76615,484,453
200%5,128,4768,398,58410,718,07212,989,47615,113,43816,299,424

신청 체크리스트 & 마무리

  • 가구원 수 확인 → 소득인정액 산출(근로·재산 공제 확인) → 해당 제도 비율과 비교
  • 지자체·부처별 선정기준·제출서류는 매년 공고로 확정되므로 최신 공고문을 확인
  • 정부24·복지로 모의계산 및 행정복지센터 상담으로 실제 자격 검증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은 더 많은 가구가 복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넓혀줍니다. 각 제도의 선정기준과 신청 절차를 꼼꼼히 확인해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정보와 준비로 우리 가구에 맞는 복지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 정부 포털
보건복지부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보도자료 · 정부 정책브리핑(1~6인가구 수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