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m 계주 남자 대표팀 프로필 · 기록] 세계 U대회 최초 한국 금메달 (영상)
2025년 7월 27일, 독일 보훔의 로르하이데 스타디움에서는 세계 대학생들의 스포츠
축제 ‘U대회’(Universiade) 육상 남자 400m 계주 결선이 펼쳐졌습니다. 이날 한국
대표팀은 서민준(서천군청), 나마디 조엘진(예천군청), 이재성(광주광역시청),
김정윤(한국체대)의 순으로 뛰며 38초50이라는 뛰어난 기록으로 결승선을
통과했습니다.
![]() |
400m 계주 한국 남자 대표팀 |
이번 기록은 지난 5월 제26회 아시아육성선수권대회 결승에서 한국 대표팀이 한국
기록을 세운 38초49초에 불과 0.01초 뒤진 기록입니다.
대한민국 4×100m 계주 기록
- 기록: 38.49초- 달성일: 2025년 5월 31일
- 장소: 경북 구미시(제26회 아시아육상선수권대회 결승)
- 주자: 서민준, 나마디 조엘진, 이재성, 이준혁
- 비고: 챔피언십 기록(CR), 한국 최고기록 갱신
📌 참고로, 이전 기록은 2025년 5월 10일 광저우에서 열린 World Athletics Relays에서 세운 38.56초였습니다.
아시아 4×100m 계주 기록
- 기록: 37.43초- 달성국가: 일본
- 대회: 2019년 도하 아시안게임
- 주자: Kiryu Yoshihide 등
- 비고: 아시아 기록(Asian Record)
세계 4×100m 계주 기록
- 기록: 36.84초- 달성국가: 자메이카
- 대회: 2012 런던올림픽
- 주자: 우사인 볼트(Usain Bolt) 포함
- 비고: 현 세계기록(World Record)
기록 비교 표
구분 | 기록 | 달성 국가 | 비고 |
---|---|---|---|
대한민국 | 38.49초 | 대한민국 | 2025 아시아육상선수권, CR |
아시아 | 37.43초 | 일본 | 2019 도하 아시안게임, 아시아 기록 |
세계 | 36.84초 | 자메이카 | 2012 런던올림픽, 세계기록 |
400m 계주 주자 4인 프로필 정리
① 서민준 (첫 주자)
- 소속: 서천군청
- 생년월일: 2004년생
- 신장·체중: 175cm / 69kg
- 주요이력: 전국체전 100m 금메달, 국가대표 상비군
- 특징: 스타트 반응속도와 직선 가속력이 강점. 첫 주자의 안정성과
추진력이 뛰어나며, 최근 개인기록도 상승세.
② 나마디 조엘진 (두 번째 주자)
- 소속: 예천군청
- 생년월일: 2006년 2월 6일
- 신장·체중: 186cm / 70kg
- 출신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특징: 나이지리아계 혼혈로 뛰어난 탄력과 중반 가속력이 강점.
부드러운 주행과 강한 리듬감으로 중간 구간에서 속도를 유지시키는 핵심 역할
수행. 아버지는 나이지리아 육상 멀리뛰기 선수 출신.
③ 이재성 (세 번째 주자)
- 소속: 광주광역시청
- 생년월일: 2001년생
- 신장·체중: 177cm / 68kg
- 출신학교: 한국체육대학교
- 특징: 곡선 구간 주자로 탁월한 코너링 능력 보유. 기술적 배턴
터치와 지능적 레이스 운영에 능숙. 유연한 주법이 돋보임.
④ 김정윤 (앵커, 마지막 주자)
- 소속: 한국체육대학교
- 생년월일: 2005년생
- 신장·체중: 182cm / 74kg
- 주요이력: 제31회 한중일주니어종합경기대회 100M 1위
- 특징: 폭발적인 스피드와 결승선 집중력이 강점. 마지막 주자로 상대
팀을 따라잡거나 격차를 벌리는 데 강력한 역할.
한국 육상, 계주에서 새 희망을 보다
정교한 배턴 터치, 팀워크, 체력 분배 전략 등 훈련된 기술과 협업의
산물이었습니다.
특히 앵커 김정윤 선수의 마지막 100m는 절정의 집중력과 가속력을 보여주며
관중들의 환호를 자아냈습니다.
이제 한국 육상은 아시아 무대를 넘어 세계대회 결승 경쟁을 현실로 만들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400m 계주를 통해 한국 육상이 단거리 종목에서도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순간이었습니다.
마무리하며
이번 U대회에서의 400m 계주 결승은 한국 육상사에 길이 남을 값진 기록입니다. 38초50이라는 성적은 단순한 수치를 넘어, 한국 선수들의 성장 가능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보여주는 신호탄입니다.
앞으로도 이들의 성장과 한국 육상의 발전을 응원하며, 더 많은 국민이 육상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길 기대합니다.
출처
- 대한육상연맹 공식 홈페이지
- 세계육상연맹 기록센터
- 2025 U대회 공식 결과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