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역대 인상률 1988~2026년] 지난 39년 간 22배 상승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들의 삶을 보호하고, 고용시장 내 공정한 경쟁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제도입니다. 해마다 결정되는 최저임금은 단순한 금액
수치를 넘어, 그 해의 경제 상황, 정치적 방향, 사회적 합의 수준까지 반영하는
지표로 해석됩니다. 특히 정권별 최저임금 인상률은 그 정부의 노동 정책 성향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이기도 합니다.
![]() |
역대 최저임금 상승률 |
이번 글에서는 1988년부터 2026년까지 39년간의 최저임금 변화를 정리했습니다. 정권별 시기 구분, 연도별 시급, 인상률(전년 대비 %)을 함께 정리해 한눈에 흐름을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특히 2026년 최저임금은 17년 만의 노사정 합의로 결정되어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1988–2026 최저임금 인상률
연도 | 시급 (원) | 인상률(%) | 정권 |
---|---|---|---|
1988 | 462 | - | 노태우 |
1989 | 600 | +29.8 | 노태우 |
1990 | 690 | +15.0 | 노태우 |
1991 | 820 | +18.8 | 노태우 |
1992 | 925 | +12.8 | 노태우 |
1993 | 1,005 | +8.6 | 김영삼 |
1994 | 1,085 | +8.0 | 김영삼 |
1995 | 1,170 | +7.8 | 김영삼 |
1996 | 1,275 | +9.0 | 김영삼 |
1997 | 1,400 | +9.8 | 김영삼 |
1998 | 1,485 | +6.1 | 김대중 |
1999 | 1,525 | +2.7 | 김대중 |
2000 | 1,600 | +4.9 | 김대중 |
2001 | 1,865 | +16.6 | 김대중 |
2002 | 2,100 | +12.6 | 김대중 |
2003 | 2,275 | +8.3 | 노무현 |
2004 | 2,510 | +10.3 | 노무현 |
2005 | 2,840 | +13.1 | 노무현 |
2006 | 3,100 | +9.2 | 노무현 |
2007 | 3,480 | +12.3 | 노무현 |
2008 | 3,770 | +8.4 | 이명박 |
2009 | 4,000 | +6.1 | 이명박 |
2010 | 4,110 | +2.8 | 이명박 |
2011 | 4,320 | +5.1 | 이명박 |
2012 | 4,580 | +6.0 | 이명박 |
2013 | 4,860 | +6.1 | 박근혜 |
2014 | 5,210 | +7.2 | 박근혜 |
2015 | 5,580 | +7.1 | 박근혜 |
2016 | 6,030 | +8.1 | 박근혜 |
2017 | 6,470 | +7.3 | 박근혜/문재인 |
2018 | 7,530 | +16.4 | 문재인 |
2019 | 8,350 | +10.9 | 문재인 |
2020 | 8,590 | +2.8 | 문재인 |
2021 | 8,720 | +1.5 | 문재인 |
2022 | 9,160 | +5.0 | 문재인 |
2023 | 9,620 | +5.0 | 윤석열 |
2024 | 9,860 | +2.5 | 윤석열 |
2025 | 10,030 | +1.7 | 윤석열 |
2026 | 10,320 | +2.9 | 이재명 |
🔍 정권별 흐름 요약
- 노태우~김영삼: 높은 인상률 유지(+10~30%)
- 김대중: 복지 기반 확대와 금융위기 대응 중심
- 노무현: 평균 9~13% 인상
- 이명박: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낮은 인상률
- 박근혜: 중간 수준 인상 유지
- 문재인: 2018년 +16.4% 등 급격한 상승
- 윤석열: 인플레이션 억제, 1.7~5% 선 유지
- 이재명: 2026년 17년 만의 노사정 합의로 2.9% 인상
📌 2026년 최저임금은 왜 중요한가?
- 사회적 합의 달성: 노·사·공익 위원이 만장일치로 결정
- 인상률의 절충성: 양측 불만을 조율한 ‘중간 인상’
- 최저임금위원회 복원: 사회적 대화 기능 회복의 상징
✅ 향후 과제
- 물가 상승률과 연동 여부 검토
- 소상공인 부담 완화 정책 병행 필요
- 생계비 기준 최저임금 현실화 논의 확대
🔚 결론: 수치 이상의 정책적 의미
최저임금은 숫자를 넘어서 시대의 경제, 정치, 노동 환경을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특히 2026년은 17년 만의 노사정 합의라는 점에서, 향후 한국 사회의 노동시장 구조 안정과 사회적 신뢰 회복을 상징하는 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월별 실소득 변화, 사업주 지원제도, 실업률·고용률과의 상관관계 등 보다 깊은 분석을 다룰 예정입니다.